김승민은 일상에서 자연이 낯설게 느껴지는 순간을 포착하고 그 순간의 감정을 의인화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완성된 작업에 대해 자료를 역으로 추적하여 작업의 역사를 재구성함을 통해 과정과 결과의 위치를 역전시킨다.
Seungmin Kim picks up those uncanny moments he finds in nature and personifies them in his paintings. In the current exhibition, he reforms the history of his practice by tracking back from the finished work, thus turning over the position of the process and the result
개발의 논리로 빠르게 변모하는 제주를 보며 자연은 더 이상 자연스럽지 않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조경 사업으로 인해 도심에서도 쉽게 녹음을 즐길 수 있는 오늘날이지만 계획적으로 조성된 자연이다 보니 그 안에서의 생명력을 느낄 수가 없다. 비단 자연이라 하면 그 속에서 살아가는 생명들이 포함되어야 할 것인데 우리가 속한 자연은 그 기능을 상실하고 인간에 의해 오직 풍경으로서 작용한다. 문명에 익숙한 내가 자연스러운 자연이 무엇인지를 알기 위해 선택한 방법은 계속해서 의심스러운 상황을 기록하는 것이다. 나는 자연에서 느낀 언캐니(uncanny)한 순간들을 그려냄으로써 자연스러움을 추적한다. 이를 통해 내가 쫓는 자연스러움이란 인간과 자연이 어느 정도의 균형을 맞추었을 때 이루어지는지 탐구하고 있다.
Jeju has been undergoing drastic transition due to (urbanisation/development schemes) which I reckon is no longer close to nature itself. Nowadays, greeneries are commonly found even in urbanised cities in the form of landscape gardening. However, it is planned greenery that doesn’t necessarily feel alive. If we are to talk about being natural, it should include the living things in real nature. However, the so-called nature surrounding us acts as a simple landscape only. We’ve become too used to the urban landscape and to attain a genuine understanding of the real nature, I’ve decided to record the arising doubts. I paint the uncanny moments I find in nature to track down the real nature itself. Through this method, I aim to investigate the nature I'm after, which can be achieved when we humans and nature come to a certain balance/agreement.
1.미디어를 통해 새로운 사실이나 사건을 접한다.
2.이는 인식의 변화를 가져온다.
3.인식은 감각의 변화를 야기한다.
4.즉 과거와 똑같은 일상의 풍경도 이전과 다른 풍경으로 감각되어진다.
5.낯설어진 풍경들을 수집한다.
6.수집과정은 물질적일수도 있고 비물질적일 수도 있다. 수단을 가리지않고 수집하는 편이다.
7.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드로잉을 하고 그 안에서 느낀 낯선 감정을 의인화하여 배치한다.
8.캔버스에 드로잉을 토대로 작업한다. 3회가량 젯소칠을 한 캔버스에 아크릴물감을 이용하여 드로잉부터 본 작업까지 진행한다.

You may also like

Back to Top